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어느새 C드라이브 용량이 가득 차서 빨간색 경고등이 들어오는 경험, 누구나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스팀 라이브러리에 쌓여만 가는 게임들, 프로젝트 끝난 후 방치된 고화질 영상 소스, 그리고 언제 받았는지 기억도 안 나는 다운로드 폴더의 파일들까지.

“대체 뭐가 이렇게 용량을 차지하는 거야?” 싶어서 폴더 하나하나 속성을 눌러보며 범인을 찾아보지만, 시간만 버리고 정작 큰 파일은 찾지 못해 답답했던 적 많으시죠? 윈도우의 기본 기능인 ‘저장 공간 센스’는 훌륭하지만, 숨어있는 대용량 파일을 직관적으로 찾아내기엔 역부족입니다.
오늘은 윈도우 탐색기만으로는 절대 해결할 수 없는 용량 부족 문제를 단 **몇 초 만에 해결해 줄 무료 디스크 분석 도구, ‘WizTree’**를 소개합니다. 제가 수년간 PC 관리 필수템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 툴의 강력함을 지금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1. 윈도우 기본 기능만으로는 부족한 이유
윈도우 10과 11에는 ‘저장 공간 센스(Storage Sense)’라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휴지통을 자동으로 비우거나 임시 파일을 삭제하는 등 기본적인 관리에는 유용합니다. 하지만 이 기능은 **”내 드라이브의 어떤 폴더가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졌는지”**를 한눈에 보여주지는 못합니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단순히 찌꺼기 파일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수십 기가바이트(GB)를 차지하고 있는 ‘진짜 범인’을 색출하는 것입니다. 이때 WizTree가 빛을 발합니다.
2. WizTree 사용법: 클릭 두 번으로 용량 도둑 검거하기
WizTree의 사용법은 놀라울 정도로 간단합니다. 복잡한 설정 없이 설치 후 실행만 하면 됩니다.
초고속 스캔과 시각화 (트리맵)
WizTree를 실행하고 분석하고 싶은 드라이브를 선택한 뒤 ‘스캔’ 버튼을 누르세요. 단 몇 초면 전체 드라이브 분석이 끝납니다. 그리고 화면 하단에 알록달록한 사각형들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바로 WizTree의 핵심인 **’트리맵(TreeMap)’**입니다.
- 사각형의 크기 = 파일의 크기입니다.
- 즉, 화면에서 가장 큰 사각형 덩어리가 당신의 용량을 잡아먹는 주범입니다.
- 폴더를 일일이 열어볼 필요 없이, 가장 큰 네모를 클릭하면 즉시 해당 파일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파일 뷰(File View)와 필터링
단순히 시각적으로 보는 것을 넘어, 좀 더 디테일한 관리가 필요하다면 ‘파일 뷰’ 탭을 활용해 보세요.
- 확장자별 정리:
.mp4, .iso, .zip 등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파일 형식만 따로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 - 중복 파일 찾기: ‘중복만(Duplicate Only)’ 체크박스를 활용하면 나도 모르게 여러 곳에 복사해 둔 중복 파일들을 찾아내어 아까운 공간을 즉시 확보할 수 있습니다.
실전 팁: 저의 경우, 예전에 개발 공부를 하며 설치했던 Docker 컨테이너 데이터가 무려 70GB나 차지하고 있는 것을 WizTree 덕분에 발견했습니다. 더 이상 쓰지 않는 서비스였기에 과감히 삭제했고, 클릭 몇 번으로 40GB 이상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3. 전설적인 ‘WinDirStat’보다 WizTree를 추천하는 이유
디스크 분석 툴 좀 써봤다 하시는 분들은 아마 ‘WinDirStat’을 기억하실 겁니다. 아주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훌륭한 무료 프로그램이고, WizTree와 인터페이스도 매우 비슷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제 WinDirStat 대신 무조건 WizTree를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단 하나, 압도적인 속도 차이 때문입니다.
| 특징 | WizTree | WinDirStat |
| 작동 방식 | MFT(Master File Table) 직접 스캔 | 디렉토리를 하나하나 순차 스캔 |
| 스캔 속도 | 약 2~7초 (초고속) | 약 30초 ~ 수 분 (느림) |
| 최신 호환성 | 지속적인 업데이트 | 개발 중단 상태 (구형) |
WizTree는 윈도우의 파일 시스템인 NTFS의 MFT를 직접 읽어들이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쉽게 말해, 집집마다 문을 두드려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동사무소의 거주자 명부를 훑어보는 방식이죠. 1TB 이상의 대용량 드라이브를 사용할수록 이 속도 차이는 극명하게 벌어집니다. 더 빠르고 효율적인 WizTree를 쓰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4. 설치가 필요 없는 ‘포터블’의 매력
WizTree의 또 다른 장점은 ‘포터블(Portable)’ 버전을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굳이 내 컴퓨터에 설치할 필요 없이, 실행 파일 하나만 있으면 어디서든 작동합니다.
저는 USB 메모리에 WizTree 포터블 버전을 항상 넣어 다닙니다. 가족이나 친구의 컴퓨터가 느려졌다고 해서 봐줄 때, USB를 꽂고 WizTree를 실행하면 단 1분 만에 불필요한 대용량 파일들을 찾아내어 “우와, 내 컴퓨터가 이렇게 빨라졌어?”라는 감탄사를 들을 수 있죠. 개인 사용자에게는 완전 무료라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매력입니다.
결론: 저장 공간 관리의 종결자
컴퓨터 용량 정리를 위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질 필요도, 비싼 유료 프로그램을 살 필요도 없습니다. WizTree 하나면 충분합니다.
지금 내 PC가 느려졌거나 C드라이브가 붉게 변해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WizTree를 다운로드하세요. 스캔 버튼을 누르는 순간, 당신이 잊고 있었던 수백 기가바이트의 ‘디지털 쓰레기’들이 모습을 드러낼 것입니다. 10분의 투자로 새 컴퓨터 같은 쾌적함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