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November 26th, 2025

“변경 사항을 취소하는 중…” 윈도우 업데이트 무한 실패/롤백 해결 가이드

컴퓨터를 재부팅할 때마다 마주치는 공포의 메시지가 있습니다. “컴퓨터에 대한 변경 사항을 취소하는 중(Undoing changes to your computer)…”

윈도우 업데이트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업데이트 설치 후 오히려 PC가 먹통이 되거나 무한 재부팅의 굴레에 빠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기껏 시간을 들여 설치했는데 다시 롤백되어버리는 이 현상은 사용자의 진을 빠지게 만듭니다.

"변경 사항을 취소하는 중…" 윈도우 업데이트 무한 실패/롤백 해결 가이드

단순히 기다린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닙니다. 이 증상은 특정 업데이트 파일의 오류일 수도 있고, 내 컴퓨터의 시스템 파일 손상이나 드라이버 충돌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윈도우 업데이트가 자꾸 실패하고 되돌아가는 원인을 진단하고, 이를 확실하게 해결하는 전문적인 트러블슈팅 가이드를 단계별로 알려드리겠습니다.


1단계: 내 PC 문제인가, 업데이트 자체의 문제인가? (원인 파악)

무작정 수리를 시도하기 전에,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범인’**을 찾는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도 사람이 만드는 소프트웨어이다 보니, 간혹 버그가 포함된 업데이트를 배포하기도 합니다. 만약 업데이트 자체에 결함이 있다면, 내 PC를 아무리 고쳐도 해결되지 않습니다.

  1. 업데이트 기록 확인: 윈도우 시작 메뉴에서 업데이트 기록 보기(View update history)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2. 실패한 업데이트 식별: 가장 최근에 설치 실패했거나 문제를 일으킨 업데이트의 **KB 번호(예: KB5034441)**를 메모해 둡니다.
  3. 구글링 및 커뮤니티 검색: 해당 KB 번호를 ‘Microsoft Update Catalog’나 윈도우 관련 포럼, 구글에 검색해 봅니다.
  4. 판단: 만약 다른 사용자들도 동일한 실패/롤백 현상을 겪고 있다면, 이는 업데이트 자체의 버그입니다. 이 경우 억지로 설치하려 하지 말고, MS가 수정 패치를 내놓을 때까지 [업데이트 일시 중지]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하지만, 검색 결과 별다른 이슈가 없다면 내 PC 환경의 문제입니다. 이제 다음 단계로 넘어가세요.


2단계: 시간 낭비 없는 ‘기초 점검’ (Preliminary Fixes)

복잡한 명령어를 입력하기 전에, 의외로 간단한 이유로 업데이트가 막히는 경우를 해결해 봅시다. 이 4가지 체크리스트만으로도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30% 이상입니다.

  • USB 및 외장 메모리 제거: 컴퓨터에 USB 드라이브, SD 카드, 외장 하드 등이 연결되어 있다면 모두 제거하세요. 부팅 과정에서 드라이브 문자가 꼬이거나 시스템이 이를 부팅 장치로 오인하여 업데이트 구성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저장 공간 확보: 윈도우 업데이트는 압축을 풀고 설치하는 과정에서 생각보다 많은 여유 공간을 요구합니다. C드라이브(시스템 드라이브)가 꽉 차 있다면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하여 최소 20GB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세요.
  • 일시적인 오류 재시도: 단순한 네트워크 끊김이나 일시적 충돌일 수 있습니다. 한 번 더 시도해 보고 동일 증상이 나타나면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 안전 모드(Safe Mode) 설치: 부팅 시 F8 또는 Shift + 다시 시작을 통해 안전 모드로 진입한 후 업데이트를 시도해 보세요. 타사 프로그램의 간섭 없이 순수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가 진행되므로 성공 확률이 높습니다.

3단계: 손상된 시스템 파일 복구 (SFC & DISM)

기초 점검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윈도우 시스템 파일 중 일부가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윈도우에는 이를 스스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강력한 도구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SFC (시스템 파일 검사기) 실행

SFC는 손상된 시스템 파일을 스캔하고, 정상적인 캐시 버전으로 교체해 줍니다.

  1. 윈도우 검색창에 cmd 또는 명령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
  2. 마우스 우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합니다. (매우 중요!)
  3. 검은색 창이 뜨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Enter)를 칩니다.
    • 명령어: sfc /scannow
  4. 검사가 100% 완료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손상된 파일을 발견하고 복구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면 재부팅 후 업데이트를 시도합니다.

DISM (배포 이미지 서비스 및 관리) 실행

SFC로 해결되지 않을 때, 더 깊은 윈도우 이미지 자체를 복구하는 도구입니다.

  1. 마찬가지로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2.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습니다.)
    • 명령어: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3. 작업이 완료되면 PC를 재시작하고 업데이트를 다시 진행합니다.

4단계: 윈도우 업데이트 구성 요소 초기화 (PowerShell 활용)

업데이트 파일이 다운로드되는 임시 폴더가 꼬여있거나, 업데이트 관련 서비스가 먹통인 경우입니다. 이 경우 기존의 업데이트 캐시를 싹 비우고 서비스를 재시작하는 ‘수동 초기화’가 직빵입니다.

  1. 윈도우 검색창에 PowerShell을 입력하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2. 다음 명령어들을 한 줄씩 순서대로 입력하여 업데이트 관련 서비스를 중지합니다.
    • net stop wuauserv
    • net stop cryptSvc
    • net stop bits
    • net stop msiserver
  3. 이제 서비스를 다시 시작합니다.
    • net start wuauserv
    • net start cryptSvc
    • net start bits
    • net start msiserver
  4. 창을 닫고 재부팅 후 업데이트를 확인합니다. 이 과정은 꼬인 실타래를 잘라내고 새 실을 연결하는 것과 같습니다.

5단계: 범인 색출을 위한 ‘클린 부팅’ (Clean Boot)

만약 위 방법들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백신 프로그램이나 은행 보안 프로그램 등 **타사 서비스(Third-party Services)**가 윈도우 업데이트를 방해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MS 필수 기능을 제외한 모든 것을 끄고 부팅하는 ‘클린 부팅’을 수행합니다.

  1. Win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msconfig를 입력합니다.
  2. [서비스] 탭으로 이동합니다.
  3. 좌측 하단의 [모든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 체크박스를 반드시 먼저 체크합니다. (이걸 안 하면 윈도우가 고장 날 수 있습니다.)
  4. 남은 목록(타사 프로그램들)이 보이면 우측의 **[모두 사용 안 함]**을 클릭합니다.
  5. [적용] -> [확인]을 누르고 재부팅합니다.

클린 부팅 상태에서 업데이트가 성공한다면, 아까 끈 서비스 중 하나가 범인입니다. 업데이트 성공 후에는 다시 msconfig에서 설정을 원상 복구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비교 분석: 시스템 복원 vs 인플레이스 업그레이드

모든 방법을 동원해도 해결되지 않는 최악의 상황이라면, 두 가지 선택지가 남습니다.

구분시스템 복원 (System Restore)인플레이스 업그레이드 (In-place Upgrade)
방식문제가 발생하기 이전 시점으로 윈도우 상태를 되돌림윈도우 설치 파일을 이용해 OS를 덮어씌워 재설치
장점빠르고 간편함. 최근 설치한 프로그램만 삭제됨시스템 파일이 완벽하게 복구됨. 업데이트 오류 해결 확률 99%
단점복원 지점이 미리 생성되어 있어야 가능함시간이 오래 걸림 (윈도우 ISO 파일 필요)
데이터개인 파일(문서, 사진 등)은 유지됨개인 파일 및 앱 유지 옵션 선택 가능

전문가 팁: 업데이트 오류가 너무 심각하다면, ‘인플레이스 업그레이드’를 추천합니다. 현재 사용 중인 앱과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윈도우 시스템만 새것으로 교체하는 효과가 있어, 포맷보다 부담이 적고 업데이트 오류를 가장 확실하게 잡아냅니다.


결론: 무한 롤백, 이제 멈출 수 있습니다

“변경 사항을 취소하는 중”이라는 메시지는 윈도우가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 방어 기제를 작동시킨 결과입니다. 무작정 화를 내기보다 위에서 소개한 SFC/DISM 복구, 클린 부팅, 업데이트 구성 요소 초기화를 차근차근 적용해 보세요. 대부분의 문제는 4단계 안에서 해결됩니다.

PC 관리는 문제의 원인을 좁혀가는 과정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방법으로 지긋지긋한 업데이트 실패의 늪에서 빠져나와, 쾌적하고 안전한 최신 윈도우 환경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혹시 특정 오류 코드가 뜨거나 위 방법으로도 해결이 안 되시나요? 댓글로 오류 코드와 증상을 남겨주시면 추가적인 해결책을 함께 고민해 드리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